분류 전체보기
-
블록체인 무엇인가?후기/Book Review 2018. 7. 8. 22:59
목차시스템을 보는 눈 장착하기큰 그림으로 바라보기P2P 시스템의 엄청난 잠재력블록체인에게 떨어진 미션그래서 블록체인이 뭔가요?소유권의 본질 이해하기이중사용, 블록체인이 해결한다블록체인의 청사진 그리기소유권 기록에서 모든 것이 시작된다데이터 해싱하기해시값은 어디서 어떻게 사용될까?암호화 기법을 소개합니다노드 여러분, 트랜잭션을 승인합니까?블록체인-데이터-구조를 만들어봅시다잘 뜨개질된 블록체인, 어떻게 변경할까?블록체인이 데이터를 보호하는 방법컴퓨터들이 정보를 배분하는 방법블록체인 속 무한경쟁 사회컴퓨터들도 라인을 잘 타야 살아남는다참 잘했어요. 보상은 비트코인입니다블록체인이라는 퍼즐 완성하기냉정하게 한계점 바라보기다시 태어난 블록체인우리도 블록체인을 써볼까?블록체인의 미래 그려보기 작년말, 올해초 블록체인..
-
[2018.06.30] 2018 오픈소스 개발자 이야기후기/세미나 2018. 7. 7. 15:15
오픈소스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세미나를 한다고 하여 다녀왔다. elastic의 김종민님, 아웃사이더 변정훈님, Zepl의 이문수님 등이 연사로 나오신다고 하여 별 고민하지 않고 신청했다. 세미나 장소는 한국Microsoft 건물이었다. 최근 Github인수와 더불어 정말 오픈소스와 친해지려고 하는가보다. 시간표는 아래와 같았다. [12:40 ~ 13:00] 참가등록 [13:00 ~ 13:40] 회색지대 – 이상과 현실: 오픈소스 저작권 (신정규) [13:40 ~ 14:20] Elastic 에서 Remote 로 일하기 (김종민) [14:20 ~ 15:00] 오픈소스 생태계 일원으로서의 개발자 (변정훈) [15:00 ~ 15:10] 휴식 [15:10 ~ 15:50] 해외 오픈소스 컨퍼런스 발표와 참여 (송태웅..
-
자바 프로젝트 필수 유틸리티후기/Book Review 2018. 6. 23. 10:06
책의 목차빌드 도구 입문메이븐 입문하기메이븐 활용하기그레이들 입문하기그레이들 활용하기SBT 입문과 활용하기깃/깃허브 입문하기젠킨스 입문과 활용하기 Maven, Gradle, SBT, git/github, Jenkins 모두 업무에서 많이 사용되는 툴들이다. 이미 구축되어 있는 것을 상요하는 상황이라 각 툴들에 대해 기본적인 것부터 살펴보고자 하였다. 빌드 도구는 예전의 ant(군대에서 조금 써봄)이후 나온 maven이 제일 대중적으로 쓰이고 있지 않나 싶다. 하지만 안드로이드의 기본 빌드툴인 gradle을 사용하는 빈도도 늘어나고 있는 듯 하다. maven은 xml기반이라 코드가 불필요하게 길어지거나 장황해 질 수 있지만 스코프 설정이나 세세한 설정이 가능하다. gradle은 빠르지만 groovy라는 j..
-
[2018.06.19] Google I/O Extended @Suwon후기/세미나 2018. 6. 20. 20:53
올해 Google I/O Exteded Seoul은 주말에 일이 있어서 못갔었는데, 집근처에서 I/O Extened Suwon이 열린다고 해서 다녀왔다. 행사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및 일정 [18:30 ~ 19:00] 참가자 등록 확인 및 저녁식사 [19:00 ~ 19:20] Keynote (GDG Suwon 운영자) 세션 [19:30 ~ 20:00] Android Jetpack - KTX로 코틀린하자 (권태환 - 요기요) [20:05 ~ 20:35] Web Assembly (David Barr - 삼성전자) [20:40 ~ 21:10] 개발자가 Google Assistant를 활용하는 4가지 방법 (양찬석 - Google) 마무리 [21:15 ~ 21:40] 네트워킹 및 마무리 사실 안드..
-
Java 9 모듈 프로그래밍후기/Book Review 2018. 6. 16. 15:27
작년 9월에 자바9가 출시되었고, 9에서 가장 눈에 띄게 달라진 부분은모듈프로그래밍이라고 할 수 있다. 자바가 처음 출시된 지 20년이 지난 지금까지 하위호환성을 지키고 있다는 점은 다른 언어로서는 상상하기 힘든 장점이다. jdk1.4에서 컴파일한 클래스파일이 jre8에서도 여전히 잘 돌아간다는 뜻이다. 하지만 호환성을 지키기 위해 포기해야 하는 부분들이 있었는데 바로 jre의 사이즈이다. deprecated되거나 거의 쓰지도 않는 CORBA 클래스 같은 것들을 지원하기 위해 상위 jre에서는 계속 가져가야한다. 그러다보니 버전이 올라갈 때마다 rt.jar의 사이즈는 계속 커질 수 밖에 없다. 그 부분들을 해결하기 위해 나온것이 바로 자바9의 모듈인 것이다. 목차자바 9 모듈화 소개첫 번째 자바 모듈 만..
-
[IntelliJ] Error: java: invalid source release: nJava/IDE 2018. 6. 2. 11:20
한 PC에 여러 JDK를 깔고 프로젝트마다 다르게 혹은 한 프로젝트 내에서 JDK 버전을 다르게 설정하며 쓸 수가 있다. 예를들어 JDK10을 깔았지만 sbt에서 인식을 못해서 스칼라 프로젝트에서는 JDK1.8로 설정을 해야 한다든가 할 필요가 있다(아직 기본으로 9나 10을 쓰기는 무리인거 같다. 호환 안되는 경우가 왕왕 있음). 사실 저 위에 에러가 나는 이유는 한 프로젝트 내에서 처음에 9 or 10으로 빌드했다가, 나중에 실행할 때는 1.8버전으로 실행해서 생기는 문제다. 해결법은 아래와 같다. 1. 프로젝트 run을 하려할 때, Error: java: invalid source release: 9가 발생 2. Project Structure - Modules (윈도우는 Ctrl + Alt + S..
-
[2018.05.26] [카프카, 데이터 플랫폼의 최강자] 저자 직강 세미나후기/세미나 2018. 5. 28. 23:54
지난주 토요일 카프카 세미나를 다녀왔다. 금요일 새벽에 페이스북에서 한다는 사실을 알고 급하게 신청했다. 다양하게 카프카가 사용되고 있지만 직접 구축하고 사용해보지는 않아서 카프카에 대해 두루뭉술한 상태였다. 그런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세미나도 참석하고 가는길에 책도 구입했다. 세션1. 저자 고승범(peter)님 첫번째 세션에서는 피터가 실무에서 직접 겪은 다양한 사례들을 공유해주셨다. 사내 공용 카프카를 설계하고 운영까지 하게 된 계기, 장애상황, 성능 비교 등을 나누어 주셨다. 정말 실무에서 산전수전 다 겪은 노력이 보였다. 덕분에 사내 공용 카프카를 잘 쓰고 있다. 세션2. 저자 공용준(Andrew)님 두번째 세션은 앤드류가 Kafka Streams와 KSQL에 대해 나누어 주셨다. Kafka도 잘 ..
-
[Java9] IOJava/기본 2018. 5. 14. 00:19
InputStreamjava.io.InputStream읽기/복사에 관한 3개의 메소드 추가됨readAllBytes() : intput stream의 모든 바이트들을 읽음readNBytes(byte[] b, int off, int len) : b배열의 off위치부터 len byte만큼 읽음transferTo(OutputStream out) : input stream에서 모든 bytes를 읽고, OutputStream에 씀이제 Apache Commons IO 같은거 안써도 됨 The ObjectInputStream Filter객체를 저장하거나 네트워크 전송을 위해 직렬화 함데이터를 객체로 역직렬화 할 때 데이터가 유효한지 검증이 필요함이제 입력을 필터링하기 위해 java.io.ObjectInputStream..